유용한 생활 꿀팁

치매 검사는 어디서 받을 수 있을까? – 가까운 검진기관부터 비용, 절차

dudu999 2025. 5. 17. 03:31

치매 검사는 어디서 받을 수 있을까? – 가까운 검진기관부터 비용, 절차까지 정리

“부모님이 자꾸 같은 말을 반복하시는데 혹시 치매 초기 아닐까요?”
“치매 검사는 병원에서만 하나요? 보건소에서도 되나요?”

치매는 조기 발견이 가장 중요합니다.
초기에 발견해 관리하면 진행을 늦추거나 일부는 회복도 가능하지만,
뒤늦게 알아채면 가족과 환자 모두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치매 검사를 받을 수 있는 병원·보건소·센터,
검사 항목, 비용, 대상자 조건, 그리고 검사 시 준비할 점까지
2025년 기준으로 자세히 안내해드립니다.


1. 치매 검사는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검사 기관 내용

치매안심센터 (보건소) 전국 모든 시군구에 설치
무료 기본검사 제공  
→ 필요 시 연계병원 정밀검사도 무료 연계  
신경과/정신건강의학과 전문병원 치매 정밀검사 및 약물치료 병행
→ MRI, CT 등 고가 검사 가능  
→ 건강보험 적용 후 일부 본인부담  
대학병원 노인건강센터 고령층 전문 검사기관
인지검사 + 뇌 영상검사 + 혈액검사 세트 검사  
 

2. 치매안심센터에서 받는 기본 검사

전국 보건소 내 ‘치매안심센터’에서 무료 검사 가능
→ 방문 전 전화 예약 권장

항목 내용

인지기능 선별검사 (K-MMSE, K-CIST 등) 간단한 질문을 통한 기억력, 주의력, 계산력 확인
우울 척도 검사 치매와 혼동되는 노인 우울증 여부 확인
치매 고위험군 분류 결과에 따라 정밀검사 병원 연계 또는 지속 관리 등록

📍 보호자 동반이 필요하며, 20~30분 정도 소요

 

3. 병원에서 받는 정밀 검사

검사 항목 설명

MRI / CT 뇌 위축, 혈관 이상 확인
→ 뇌혈관성 치매, 알츠하이머 감별 가능  
혈액검사 갑상선기능, 비타민B12, 감염 여부 등 치매 유사 질환 감별
신경인지검사 (SNSB) 전문적인 인지기능 상세 평가
→ 언어, 기억, 시공간, 판단력 등 항목별 점수 산출  

💡 정밀 검사는 보통 2~3시간 소요되며, 진단서 발급 시 장기요양등급 신청에도 활용

 

4. 치매 검사 대상자

대상 설명

만 60세 이상 어르신 보건소 기본검사 무료 대상
→ 정기 검진 또는 이상 징후 있을 경우 권장  
치매 가족력 있는 분 유전성 치매 가능성, 조기검사 권장
기억력, 언어력 이상 느껴지는 경우 나이 상관 없이 병원 내원 가능
장기요양등급 신청 예정자 공단 지사에서 의뢰 받아 검사 진행 시 비용 지원 있음
 

5. 검사 비용은 얼마나 들까요?

 

기관 비용 비고

치매안심센터 무료 기본 인지검사 기준
병·의원 (신경과) 약 2만~10만 원 건강보험 적용, 항목 수에 따라 다름
대학병원 정밀검사 20만~50만 원 내외 MRI 포함 시 가격 상승
→ 뇌영상검사만 별도로 진행할 경우도 많음    

✅ 장기요양등급 신청 시 필요한 진단서 발급비(5~8만 원)는 본인부담 발생


6. 치매 조기검사, 왜 중요할까요?

  • 초기 치매는 우울증, 단순 건망증과 헷갈리기 쉬움
  • 조기진단 시 약물로 진행 억제 가능, 사회활동 유지도 유리
  • 진단서 있으면 요양기관 이용, 정부 지원 대상 등록 가능
    → 간병비, 복지용구 대여, 방문간호 등 혜택 신청 가능

7. 검사 예약은 어떻게?

기관 예약 방법

치매안심센터 가까운 보건소 홈페이지 or 전화 문의
→ “치매선별검사 예약하고 싶어요”라고 요청  
병·의원, 대학병원 네이버예약 또는 전화예약
→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로 문의  

✅ 검사 전날 금식 불필요, 보호자와 동반 권장